1. 제주농업마이스터대학
* 제08주차 수업 (현장실습)
*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 - 김시현
* 동부농업기술센터 - 김승현, 현해남
* 모수원 - 오정환
* 제수시에서 김녕, 그리고 서귀포....... 제주도 한 바퀴를 돌다???
* 방제작업이 급하기에, 일단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와 동부농업기술센터까지만 수업에 참여한 후
서귀포 모수원대신 제주과수원으로 향해, 석회보르도액 방제작업을 계속함.
2. 제주과수원 (어제에 이어 계속작업)
* 석회보르도액 살포
물 : 2,000리터
CM-150 204 : 12Kg
희석배액 : 167배
남중구역중 나머지 및 남동지역 전부 완료(합 1,900리터 사용; 총 1/3 완료), 명일, 계속방제작업 예정
* 오후 4시부터 오후 7시까지.
------------------------------------------
기계유유제 혼용을 하지 않으니... 보르도액 살포 흔적이 나타났다.
보르도액 살포전의 모습
이크... 역시 친환경농업은 어렵고도 힘들어... 여지없이 이세리아 깍지벌레가 발생을 했고, 그 인근에는 개미들이 열심히 먹이활동을 하고 있었다. 물론 이세리아 깍지벌레 주변은 까만 그을음이 번지고 있었고... 처음에는, 개미들이 깍지벌레들을 포식하는 줄 알았었는데... 학습활동을 통해, 개미와 이세리아 깍지벌레, 또는 진딧물은 서로 공생관계라 한다. 진딧물이나 이세리아 깍지벌레의 분비물이 당분성분이라 먹이활동을 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