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8.01 (일) 흐림.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영양유전학(Nutrigenetics)
영양유전체학(Nutrigenomics)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유기농업과 유기농산물, 그리고 먹거리.... 인공으로 합성한 화학비료와 유기합성농약의 유해성....
단순히, 생산된 먹거리의 성분이 다를 것이라는 막연한 의심에서 출발, 유기농산물의 건강함을 증명하기 위해, 그 증명을 통해 유기농산물 소비시장이 확대 되기를 원했었죠. 믈론, 그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유기농업을 실천해 갈 수 있기를 궁극적으로 바랬습니다.
단순히 생산물 성분분석 결과의 차이가 있을까? 에서 출발, 결국 인간게놈프로젝트의 학습까지 이르렀고, 세포(Cell), 염색체Chromosime), DNA(DeoxyriboNucleicAcid; 핵산), RNA(RiboNucleicAcid; 핵산), 유전자(Gene), 염기(Base)...
이제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을 거쳐 영양유전학(Nutrigenetics)과 영양유전체학(Nutrigenomics)까지 학습하게 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2018년 03월에 쓰여졌으니, 지금으로부터 불과 3년여전의 일입니다.
2003년 초, 유기농업을 시작한 지 어느 덧 18년여가 흐르고 있습니다(그러고 보니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성된 해이기도 하네요. ㅎㅎ). 그로부터 지금까지 18여년 동안 끊임없는 의문과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며 과학적 근거를 찾아 이론적인 학습을 진행해 왔습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일반화학을 2년 반 동안 독학. 그를 기반으로 생명체 내에서의 화학반응과 물질 대사, 에너지 대사에 대해 어느정도 학습을 했으며 이젠 염색체와 유전자 등에 대해 학습하고 있습니다.
"유전자 발현"이 궁극적으로 생명체를 건강하게 또는 그렇지 않게 하는 근본원인이 될 수 있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물"은 '유전자 변이(돌연변이; Variants)'를 일으킬 수 있을까요?
#금오귤림원 #농업마이스터 #예비농학석사 #유기농 #염색체 #DNA #RNA #핵산 #유전자 #염기 #생물정보학 #영양유전학 #영양유전체학
http://www.medigatenews.com/news/998021394?category=colum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