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랑간격 : 75~80cm(보통 60cm간격으로 심고있습니다)
◆ 포기간격 : 20cm
◆ 파종알수 : 2 알 (보통 3~5알을 파종하는데 오히려 소출은준답니다)
콩이 최대로 자라는 개화기 10일 후 쯤 콩 골이 살짝 보일까 말까 하는 것을 원칙으로, 퇴비를 많이 준 포장이나 양파, 마늘, 배추, 잎담배 등의 후작일 경우에는 파종시기가 늦더라도 재식거리를 80cm 정도로 넓히는 것이 좋고, 북주기와 순지르기를 적절히 해 주는 것이 다수확에 유리 |
퇴비를 300평기준 1000kg 을 주었을시
[밑거름, 300평 기준]
◆ 석회 : 2~3년에 7~10포
◆ 인산비료 : 용과린 2포(용과린이 없을 경우 용성인비 2포)
※ 마늘,양파,배추,잎담배,고추 등 퇴비를 많이 준 포장의 경우는 용과린 1포
◆ 가리비료 : 염화가리 1포(염화가리가 없을 경우 황산가리 1포)
※ 포장에 질소질이 너무 적어 발아후 생육이 극도로 부진할 경우 요소 5kg을 콩 골에 시비 (콩은 뿌리혹 박테리아에서 질소질을 자가 생산합니다 퇴비만 충분히준다면 요소비료나 복비를 밑거름으로 주지않아도 됩니다)
[웃거름, 300평 기준] : 콩 꼬투리가 막 달릴 시기에 NK비료(벼이삭거름 비료) 10~20kg 콩 골에 시비(8월중순)
◆ 콩 꽃이 피고 10일 쯤 지나 가물면 9월말 까지 7~10일에 한번 관수
◆ 논의 경우에는 골에 5~6시간 물을 대 주었다가 빼고, 밭의 경우에는 스프링쿨러를 이용해 듬뿍 관수
기타 재배시 유의사항 [파종적기] [조류피해 예방] [이식 재배시 주의사항] [순지르기] [북주기] [병해충 및 노린재 방제]
위의 설명대로 농사를 지으시면 300평당 400kg 이상 가능. 저는 300평에서 600kg을 생산하는 농가를 본적도 있습니다.아마도 대충 농사를 하시는 분들은 믿어 지지가 않을겁니다. 현재 300평당 200kg만 나와도 잘지은 농사입니다( 논콩 농협수매 기준은 300평당 200kg입니다) 저는 2007년도에 대원콩 2000평 늦서리태 500평을 심었습니다 복비나 콩비료는 전혀 사용하지않고 심었습니다 용성인비16포 염화가리 8포와 퇴비만 주고 심었습니다(회인농협에 확인해보면 금방 확인됩니다 농협에서도 용성인비와 염화가리만 사니까 조금 으아해합니다) 심을때도 서리태는 30cm이상 대원콩은 20cm이상 2알 파종했습니다. 작년도에 일반 농가보다는 배이상 수확을 했습니다.
|
1. 단작 재배
■ [대원], [태광], [황금]등 일반품종은 적기에 파종해 재배할 경우 본엽 5~7엽 상태에서 새순을 따주는 1차 순지르기(낫이나 예취기로 윗잎을 날려줘도 가능)실시. 1차순지르기 후 개화기 10일 전쯤(7월10일 전후) 30cm 정도만 남겨두고 낫이나 예취기로 잘라내는 2차 순지르기 실시
■ 2차 순지르기를 하지 않았거나, 한 이후에도 잦은 비나, 밀식 재배, 또는 토양내 질소성분이 많아 웃자랄 경우에는 꽃이 한 두개 보일 때 웃자람을 방지하는 살균제 [빈나리]나, 질소성분은 없고 수용성 인산 성분이 많은 제4종 복비를 3~4일 간격으로 2회가량 엽면 살포함
2. 후작 재배
■ 양파․ 마늘등의 후작으로 [대원] [태광] [황금]등을 6월15~25일 사이 파종할 경우에는 본엽 5~7엽에서 1차 순지르기 실시
3. 재래종 서리태, 쥐눈이콩 재배
■ [재래종 서리태] [쥐눈이콩]은 영양생장기간이 길어(일반메주콩에 비해 개화기가 15~20일가량 늦음) 웃자랄 가능성이 높은 만큼 본엽 5~7엽에서 1차 순지르기를 한 후 시기에 관계없이 도복이 우려되면 30cm 정도만 남겨두고 2차 순지르기를 실시
■ 2차 순지르기 이후에도 웃자라 도복 우려가 있거나, 콩 골을 메워 통풍․ 수광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콩 꽃이 한 두개 피기 시작하더라도 40~50cm 수준에서 3차 순지르기 실시
4. 해발 500m이상 고랭지 재배
■ 밤낮의 일교차가 커 평지에 비해 생육이 더딘 만큼 일반메주콩의 단작 재배라도 1차 순지르기만 실시
■ 특히 해발 700m가 넘어갈 경우에는 서리태의 경우에도 2차 순지르기는 생육상황을 보아가며 실시
[1차 순지르기의 생략]
1.밑거름으로 인산비료를 충분히 시비했을 경우나 선택성 제초제 살포로 순지르기 효과를 볼 경우에 1차 순지르기는 생략해도 무방함